냉동실 문을 열었더니, 일본 가또기치와 기술 제휴한 사누끼 냉동메밀면이 있었다. 메밀가루 R100 9.99%. 250g 5개입으로 1.25kg (총 1,535 kcal) | 사누끼 냉동메밀면 조리 방법 조리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사누끼 냉동메밀면을 끓는 물에 넣고 약 1분간 해동한 후, 찬물에 급냉하여 소스와 함께 드십시오. (무, 파, 고추냉이를 곁들여 드시면 더욱 좋습니다.) 주의사항 : 이미 냉동된 바 있으니 해동 후, 재냉동시키지 말 것. (필요한 양만큼 꺼내어 사용한 후, 남은 메밀면은 바로 냉동실로 직행) | 원재료명 및 함량 식품의 유형은 국수로 가열하여 섭취하는 냉동식품으로 천일식품 제품이다. 원재료는 소맥분 (밀 : 호주산), 변성전분, 메밀가루R100 9.99% (메밀 : 중국산), ..
만드는 과정의 사진을 미처 찍지 못했다만, 엄마가 재료와 양념을 준비하고, 이모가 손으로 열심히 비빌 동안 나는 구경만 했다. 캬하, 비빔밥도 양푼에 비벼서 먹는 것인 일품인데, 쫄면도 양푼에 비벼서 먹는 맛이 일품이로군! 양푼 옆에 고이 모셔 놓고, 뷔페처럼 먹어보겠다고 접시에 예쁘게 담는 인간, 바로 여기 있다. 튀김 만두와 동그랑땡은 덤! 이상하게 야식으로 쫄면이 먹고 싶을 때가 있다. 라면보다 쫄면이 땡길 때 가끔 슬프다. 라면은 언제나 집에 넘쳐나는데 쫄면은 항상 있지 않기 때문에... 밤 11시에 먹는 쫄면이 이렇게 맛있으면 안 되는데... 돼지가 되는 지름길... 아흑.
달콤쫄깃 네모 유부초밥, 잘 찢어지지 않는 쫄깃한 유부. 유부초밥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마트에서 누구나 한번쯤 샀을 것이다. 세모 모양도 있고, 네모 모양도 있지만 내가 제일 좋아하는 모양은 역시 네모 네모한 유부 초밥. 늘 그렇듯이 제품의 이미지 사진은 언제나 멋지다. 갓 지은 밥을 대령! 벌꿀과 사과 과즙이 함유된 초밥 소스. 밥에 넣어준다. 참깨야채볶음 후레이크. 밥 위에 뿌려준다. 달콤 쫄깃한 네모 유부를 뜯는다. 유부를 뜯을 때, 처음에 이 양념물을 버리곤 했지만, 언제부턴가 이 양념물도 밥에 뿌리기 시작했다. 잘 비빈 후에, | 유부초밥 만드는 법 유부 안에 밥을 꾹꾹 넣는다. 유부만 터지지 않게 통통하게 만들 때 괜히 기분이 좋다. 유부가 터지면 어쩐지 아쉽다. 유부 손질 : 유부는 잘려진..
당면을 너무 좋아해서 당면귀신이라는 별칭이 있는 나를 위해 엄마가 끓여준 것은 당면을 메인으로 한 당면김치찌개. 당면으로 만든 것이라면 가리지 않고 뭐든 좋아하는 나를 위한 최적화 메뉴이다. 김치찌개를 끓이기 위한 재료를 준비하기 전, 제일 먼저 당면부터 물에 불리기. | 당면 효능 당면은 일반 국수처럼 물을 많이 흡수한다. 그러나 일반 국수처럼 금방 불어터지지 않고 쫄깃한 탄력을 잃지 않는 것이 매력적. 당면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당면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당면의 당이라는 한자, 唐이 바로 당나라 당. 내가 기억하는 최초의 당면 요리는 누가 뭐래도 잡채였다. 그 다음은 김말이 정도. 요즘은 당면을 활용한 음식들이 넘쳐나면서 당면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특히 떡볶이를 주문할 때, 중국당면. 중당을 빼놓..
| 취영루 만두 소개 간식으로 괜찮은 취영루 물만두. 지존의 귀환. 국산 돼지고기와 신선한 야채를 주원료로 쫄깃하고 부드러운 만두피와 만두소의 담백한 맛을 동시에 느끼실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 23.07%, 부추 16.24%, 대파 13.1%, 양배추 8.93% (영하 18도 이하 냉동 보관) 앞으로 만두를 빚을 때 위의 함량을 참고로 하여 4가지 재료만 잘 준비해도 맛있는 만두를 빚을 수 있을 것만 같다. 그래서 이런 원재료 함량표기를 놓칠 수가 없다. | 취영루 물만두 영양정보 1회 제공량 약 13개(150g) 총 3.5회 제공량 (520g) 1회 제공량당 열량 273 kcal. 탄수화물 30g 9% 당류 2g 단백질 12g 21% 지방 12g 23% 포화지방 4g 28% 콜레스테롤 16mg 5% 나..
엄마, 옛날에 쟁반막국수 먹었던 기억을 되살려서 한번 만들어 먹을까? 삼겹살 먹고 상추랑 깻잎이 너무 많이 남았잖아. 버리기도 뭣한데, 그거 썰어서 먹자. 생메밀면도 있겠다, 양념장만 만들면 되잖아? 그랬더니 엄마의 눈빛이 반짝이더니, 냉장고로 달려가 작은 반찬통을 들고 왔다. 뚜껑을 열어 안을 보여주는 엄마의 미소는 해맑았다. 이거 막국수 양념장이야. 참으로 기가 막힌 타이밍이었다. 엄만 또 어느 틈에 이 양념장을 만들었을까. 선견지명인가, 아니면 메밀면을 두고 비빔 국수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렇게 오늘의 한끼는 비빔 막국수를 만들어 먹었다. 맛있었다. 상추와 깻잎만 들어가도 이렇게 맛있구나. 제대로 삶은 계란도 올리고, 고기도 올리고, 채소를 더 다양하게 넣었다면 보기에는 좋았을 테지만, 내 ..
엄마가 말했다. 콩불 먹어. 만들어 놨으니까 볶기만 하면 돼. 어멋! 빨간 콩불! 오예!! 그러나 엄마는 작게 흩뿌리듯 말했다. '간장 양념인데....' 냉장고 문을 열어보니, 엄마의 말처럼 고기가 새빨간 양념옷을 입지 않고 있었다. 그것보다 더 놀라운 사실은 고기가 무려 5인분이라는... 마치 3박 4일동안 콩불만 만들어 먹어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이 어마무시... 다행히 콩나물은 적당한 양이로군. 고기와 콩나물을 넣고. 불을 켜고! 그냥 냅다 볶기만 하면 되는 거 아니겠나! 살짝 매콤하라고 청양고추가루를 뿌렸다. 미미한 빨강 후훗. 완성됨 콩불! 역시 엄마의 솜씨는 탁월하다! 엄청 엄청 맛있었음! 점심을 콩불로 먹고 나니, 저녁엔 또 같은 걸 먹기 싫어서 고민고민하다가 카레에 넣었다! 카레로 만들 땐 ..
엄마의 김밥. 집에 김밥을 만들만한 재료가 별로 없었다. 하지만 어쩐지 김밥이 먹고 싶어 엄마에게 슬쩍 운을 떼보았다. 그랬더니 엄마가 이 없으면 잇몸! 이라며 벌떡 일어나 냉장고로 향했다. 재료가 문제가 아니다, 색깔만 대충 김밥은 색이 다채로워야 한다, 그럼 김밥은 완성이다는 말을 덧붙이는 엄마. 김과 밥과 다채로운 색만 있으면 완성되는 김밥이로군. 냉장고 문이 열리고, 엄마의 손에서 이것저것 이동되는 재료들. 역시, 엄마가 최고다. 어묵을 길게 썰어 주고, 오이 대신 녹색 청경채를 살짝 데치고! 단무지와 게맛살 등장! 햄 대신에 엄마가 꺼낸 비엔나 소시지. 그러네요. 소시지도 햄은 햄. 어묵과 비엔나 소시지를 함께 볶아준다. 음, 이제 남은 건 뭐다? 달걀! 엄마가 꺼낸 달걀 5개를 톡톡톡톡톡! 달..
토종효모 정통단팥! 삼립호빵! 날씨가 선선하다못해 쌀쌀해졌다. 겨울까지는 아니지만, 갑자기 찬바람이 몸을 덮치면 생각나는 따끈따끈한 호빵! 가끔은 슈퍼 앞에 있는 호빵 보온기를 보면서 생각한다. 저걸 집안으로 들이고 싶다... 겨울 내내 뜨근한 호빵을 먹는 재미가 있겠지...? 인터넷으로 소형 찐빵 보온기가 있는지 바로 찾아봐야겠다! → 찾아본 결과 3만원대 찜기를 찾았다. 엄마한테 물어보고 구매해볼까. 달걀 6구 전용 찜기인 것 같은데 호빵이나 감자 고구마 간단한 것들도 찜기로 가능한 듯. 비싼 건 솔직히 몇 번 안 쓸 거니까 휴빅 타이머 반숙 달걀찜기 찜해놔야겠다!
엄마의 말로는 매생이국은 진자 요리 똥손이라도 끓일 수 있을 정도로 쉽다고 한다. 미역국과 비슷한 맛을 자랑하지만, 어찌 보면 끓이는 건 라면보다도 더 쉽다고. (과연 정말 그럴까 의문이지만) 매생이국에 떡을 넣으면 매생이 떡국이 되고, 누룽지를 넣으면 매생이 누룽지탕이 되고, 북어를 넣으면 매생이 북어국이 되고, 칼국수를 넣으면 매생이 칼국수가 되는 것인가. 핫핫. | 매생이에 대해 공부하기 매생이 (Capsosiphon fulvescens)는 전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는 남해안의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짙은 녹색으로 외견상 어린 파래와 비슷하나 질이 매우 연약하고 매우 미끌미끌하다. 겨울철 별미. 매생이는 주로 국을 끓여 먹고, 파래는 무쳐 먹는 경우가 많다. 매생이를 구입한다면..
단감 요리를 검색해 보았더니, 단감 튀김, 단감 부침개가 똭! 튀김가루가 있으면 참 좋았을 텐데, 통에 들어있는 것들이 튀김가루인지 밀가루인지 구분할 수 없는 막눈이라 부침가루를 발견하고 부참개를 하기로 결정! | 단감이란 무엇인가 단감은 가을에 꼭 등장하는 대표 과일로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비타민 C가 많기 때문에 감기 예방에 좋다고 한다. 완전히 익어서 홍시가 되기 전의 단단한 상태의 감을 단감이라고 부른다. 가을을 알리는 사진들 중에 항상 감이 주렁주렁 매달린 감나무가 들어가 있는 풍경이 많은데, 볼 때마다 매우 기분을 좋게 하는 주홍빛 색감이 참 아름다운 듯. 감은 적당히 먹으면 몸에 좋지만, 그 적당히를 넘어서면 변기에 걸린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기 때문에 많이 먹지만 않으면 크게 문제될 일은 없을..
차이티라떼란? 차이티라떼는 달콤함과 은은한 향이 매력적인 음료이다. 홍차의 맛에 향긋한 효과를 준 오리지널 시럽과 우유의 밸런스가 절묘하게 조화된 티라떼. 부드러운 풍미와 깊은 맛이 특징. 2019년 2월 5일 기준으로 차이티라떼의 가격은 SHORT 380엔, TALL 420엔, GRANDE 460엔, VENTI 500엔. 차이티라떼의 공식 비주얼은 아래와 같다. 한국에도 물론 차이티라떼가 시판되고 있지만 맛의 호불호가 꽤 갈리고 있다. 이것은 물론 일본도 마찬가지. 맛이 없다는 평을 남기는 사람들도 많다. 오죽하면 일본어로 [스타벅스 차이티라떼 맛없어]가 Google 연관 검색어로 뜰 정도이다. 미각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라 차이티라떼를 호평하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스타벅스의 차이티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